🟩 초급 일본어/기초회화 (基礎会話)

일본어 정중 표현 "ます(마스)"와 "ました(마시타)"의 차이점!

닌자토끼 2024. 7. 9. 15:13

마스/마시타 차이점

마스 VS 마시타 차이

일본어를 공부하다 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정중 표현,  "ます(마스)"와 "ました(마시타)".

 

이 두 표현은 일본어 회화에서 상대방에게 예의를 표하는 기본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일본어 초보자들은 이 둘의 차이를 헷갈려 하곤 한다.

 

오늘은 "ます(마스)"와 "ました(마시타)" 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일본어 회화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보자!


일본어 현재형과 과거형

일본어에서 "ます"와 "ました"는 동사의 종결 형태로, 현재형과 과거형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존경어(정중한 표현)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일상 대화에서 상대방에게 존중을 표할 때 쓰인다.

1. ます (masu): 현재형

"ます"는 현재 또는 미래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예시
食べます (tabemasu)

타베마스/먹습니다.


行きます (ikimasu)

이키마스/갑니다.


반응형

2. ました (mashita): 과거형

"ました"는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예시
食べました (tabemashita)

타베마시타/먹었습니다.


行きました (ikimashita)

이키마시타/갔습니다.


이 두 표현은 동사의 기본형에 따라 결합된다.

 

예를 들어, 기본형이 "食べる(타베루/먹다)"인 경우, 이를 정중하게 표현하면 "食べます(타베마스/먹습니다)"가 되며, 과거형으로 표현하면 "食べました(타베마시타/먹었습니다)"가 된다.

예시

현재형
話します (hanashimasu)

하나시마스/말합니다.


見ます (mimasu)

미마스/봅니다.


과거형

話しました (hanashimashita)

하나시마시타/말했습니다.

 

見ました (mimashita)

미마시타/봤습니다.


정리

따라서 "ます(마스)"와 "ました(마시타)"의 차이는 현재와 미래를 나타내느냐 과거를 나타내느냐의 차이이다.


추천 포스팅 ⬇️

 

일본어 1인칭 구분하기 : 와타시, 보쿠, 오레 차이점

일본어로 나 자신을 지칭해보자!일본어에서 '나'를 의미하는 표현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표현은 특정한 상황과 맥락에서 사용된다.  '와타시(私)', '보쿠(僕)', '오레(俺)'는 모두 '나'를

ninnninn.tistory.com

 

일본어로 '네', '아니오' 대답하기 (하이, 이이에, 소오데스, 이야 등)

일본어로 '네' 와 '아니오'로 대답하기일본어로 의사소통을 할 때, '네' 와 ' '아니오'를 상황에 따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오늘은 일본어로 '네'와 '아니오'를 다양한 상황에

ninnninn.tistory.com

 

728x90